안녕하세요, 오늘은 정비소 방문 시 알아두면 좋을 정비 용어들과 개념에 대해 몇 가지 알려드리려 합니다.
목차
1. 해당 정보가 필요하게 될 상황 설명
2. 정비 견적에 대한 개념
3. 정식 부품비 및 표준 공임비에 대하여
4. 견적서 상 각종 정비 용어
1. 해당 정보가 필요하게 될 상황 설명
먼저 오늘 알려드릴 정비 용어와 개념들이 어느 경우에 유용하게 될지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요즘 신차들은 차 자체의 완성도가 매우 높고, 각종 소모품 및 경정비 보증이 길게 잡혀있어 대부분의 차주분들께서는 차량 자체에 문제가 생기면 정식 센터에 들어가 (현대는 블루핸즈, 기아는 오토 큐) 적절하게 조치를 받으실 겁니다.
또한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요즘은 자동차 보험이 없는 경우가 없고, 보험사에서 적절히 지정 공업사와 금액 조율을 하여 원만히 처리하기 때문에, 차주가 크게 신경 쓸 부분이 없습니다.
하지만, 대표적으로 아래의 경우의 수 그리고 그 외의 여러 가지 요인들로 인하여 부득이하게 차주가 직접 정비 부분을 확인하고, 금액을 부담을 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1-1. 차량의 무상보증이 끝난 이후의 고장
1-2. 보험이 없는 상태에서의 차량 사고
1-3. 본인의 과실로 인한 사고이며, 자기부담금과 보험료 할증이 일반 수리비보다 크게 나와 보험처리 없이 일반 수리를 할 경우
이럴 경우에는 대부분 차주가 직접 정비소에 방문하여, 차량 정비 견적을 문의하게 되는데, 이 때 알아두면 좋을 정비 용어들과 개념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2. 정비 견적에 대한 개념
먼저 견적서에 명시되는 최종 정비 금액은 크게 보았을 때
부품비 + 공임비
로 이뤄집니다. 부품비는 말 그대로 차량 수리에 들어가는 부품의 비용을 뜻하고, 공임비는 차량 수리에 들어가는 노동비용을 뜻합니다. 탈부착, 교환, 오버홀, 판금 등의 항목이 공임비에 들어가게 됩니다.
여기서 보다 세부적으로 들어가게 된다면, 도장은 또 따로 나뉘어 기재를 하게 되는데, 도장의 부분은 다음 포스팅에서 다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따라서 견적서를 받았을 때 부품비와 공임비가 따로 나누어져 있지 않고, 정비 항목 등에 있어서 명확하게 구분이 되어 있지 않다면 해당 부분은 정확하게 구분해달라고 요청을 해야 합니다.
그렇다면 부품비와 공임비 나누는 것까지 요청하셨다면, 그 금액이 합리적인지 아닌지를 파악해야 합니다.
3. 정식 부품비 및 표준 공임비에 대하여
먼저 부품비입니다.
https://www.mobis-as.com/simple_search_part.do
현대모비스 A/S부품 용품
미래 모빌리티 기술을 이끌어 갑니다.
www.mobis-as.com
위 사이트는 현대 모비스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로 모든 부품 판매 정가를 알 수 있는 사이트이므로, 해당 사이트와 가격을 비교하여 유통과정을 감안하여 합리적이라고 생각이 들면 부품값은 넘어가도 괜찮습니다.
(**다만, 해당 부품이 정품인지, 재제조품인지는 확실히 확인해야 합니다.)
그리고 부품을 확인했다면 공임입니다. 공임은 현재 국토교통부에서도 지정한 차종 별 표준 공임 시간이 정해져있으며, 현대에서도 블루핸즈 기준으로 배포하고 있는 표준 정비 시간이 있으므로, 위 두 기준 시간을 토대로 본인의 공임 견적가와 비교를 해보면 됩니다.
https://www.hyundai.com/kr/ko/service-membership/service-network/bluehands-information/standard-maintenance-time-guide
표준정비시간 안내 | 현대자동차 - 현대닷컴 | 대한민국 대표 자동차회사 hyundai.com
표준정비시간조회 페이지입니다. 고객 분들의 편의를 위하여 주요작업별 표준정비시간을 공개합니다.
www.hyundai.com
4. 견적서 상 각종 정비 용어
그렇다면 이제 큰 틀의 정비 용어들을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주체 작업 : 복원 및 수리의 기본 목적이 되는 부품의 교환 또는 탈부착 등의 작업을 주체 작업이라 하며, 별도의 작업 항목이 존재.
2. 부수 작업 : 주체 작업을 수행하는 데 꼭 필요한 작업이지만 비교적 작업량이 큰 작업.
3. 부대 작업 : 주체 작업 내에는 포함이 되지만, 작업량이 적어 별도의 작업 항목으로 설정되지 않는 작업.
>예를 들자면 견적서 또는 점검 정비명세서에 아래와 같이 명시됩니다.
주체 작업 : 프런트 도어(좌측)
부수 작업 : 프런트 도어트림(좌측),
부수 작업 : 프런트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좌측)
4. 탈부착 작업 : 자동차 차체에 볼트 및 너트 등으로 체결되어 있는 부품 등을 분리 및 부착하는 작업
5. 판금 작업 : 자동차의 외부 모형 손상으로 인해 변형된 상태를 원래의 형태로 바로잡는 작업 일체를 말하는 것으로, 외형 복원 작업이 가능한 상태일 때 교환에 비해 비용이 절감되는 유용한 작업
6. 교환 도장 : 자동차 부품 또는 패널을 신품으로 교체한 후 보수 도장하는 형태
7. 판금 도장 : 손상된 부품을 신품으로 교환하지 않고, 판금 후 보수 도장하는 형태
3줄 요약> 차량 정비 시 견적서 및 점검 명세표에 공임비와 부품비 나누어져 있는지 확인 > 위 사이트에 들어가 해당 부품과 해당 차량 부위 공임 시간 확인 > 내 차량에 어떠한 작업을 하는지, 과잉 수리를 하지는 않는지 등 확인 (주체 작업과 부수 및 부대 작업 비교 확인) |
'MTT's 자동차 정비 및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 경고등? 계기판 경고등? 경고등 종류 및 대처 방법에 대한 모든 것! (0) | 2023.06.24 |
---|---|
ABS? HUD? 스키스루? 텔레매틱스? 워크인 스위치? 생소한 자동차 옵션에 대한 모든 것! (0) | 2023.06.23 |
타이어 교체주기? 윈터타이어, 사계절타이어? 타이어 구조? 타이어에 대한 모든 것! (2) | 2023.06.16 |
변속기 오일? 미션오일 ? 미션오일 교환주기? 미션오일 검사? 미션오일에 대한 모든 것! (0) | 2023.06.15 |
냉각수? 부동액? 냉각수 교환? 엔진과열? 냉각수에 대한 모든 것! (0) | 2023.06.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