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어는 자동차를 사람에 비유한다면 신발과 같습니다. 자동차에서의 모든 부품은 중요하지만 그중에서 타이어는 도로와의 직접적인 접촉으로 인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차량의 무게를 지탱하면서, 바닥에 접지되어 접지면으로부터 충격을 상쇄시키기도 하며, 구동력을 발생시키거나 반대로는 제동력을 발생시킵니다. 따라서 타이어는 자동차의 움직임과 주행 안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오늘은 이 타이어의 종류, 구조, 역할, 교체주기 등 전반적인 부분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목차
1. 타이어의 구조
2. 타이어의 종류
3. 타이어 읽는 방법
4. 타이어의 교체주기 및 점검방법
1. 타이어의 구조
타이어는 크게 트레드, 숄더, 사이드 휠, 비드, 브레이커, 카커스로 구성이 되어있습니다.
1-1. 트레드 : 트레드는 타이어가 바닥면에 닿는 부분을 말하며, 이 트레드 부분에는 패턴이 들어가있습니다. 이를 트레드 패턴이라고 부릅니다. 트레드 패턴은 평평한 타이어 고무는 마찰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타이어에 파임을 새기는 것으로, 신발의 깔창과 같이 표면적을 분할하여, 제동 또는 주행시 접지력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또한 타이어가 외부에 노출되는 면적을 넓힘으로써 열을 충분히 발산시키며, 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파손과 손상을 막는 역할을 해줍니다. 종류에는 리브패턴, 러그패턴, 리브러그패턴, 블록패턴 등이 있습니다.
1-2. 숄더 : 트레드부터 옆면으로 연결되는 부위를 말합니다.
1-3. 사이드 월 : 휠과 평면으로 보이는 옆면을 말합니다. 각종 타이어의 정보가 기재되어 있습니다.
1-4. 비드 : 타이어 끝 부분으로, 림과 결합되는 부분입니다. 강도가 높은 소재로 이루어져 있어 비드가 쳐지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타이어가 림에 단단히 부착되도록 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1-5. 브레이커 : 트레드와 카커스 사이에 위치합니다. 마찰로 인해 발생하는 고열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었고, 트레드와 카커스가 접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합니다.
1-6. 카커스 : 타이어가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부위로, 적당한 유연성을 지니기 때문에 스펀지와 같이 충격 흡수에 용이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2. 타이어의 종류
타이어의 종류는 구조적인 차이점과 상황별 성능적인 차이점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2-1. 구조적인 차이점
> 래이디얼 타이어 : 레이디얼 타이어는 접지면적이 크고, 하중에 의한 트레드의 변형이 적으며, 로드홀딩 능력이 우수하여, 스탠딩 웨이브 현상(타이어 공기압이 낮아 복원력이 낮은 상태의 타이어가 복원이 되지 않고 찌그러진 상태로 회전하다가 파손되는 현상)이 잘 일어나지 않습니다. 또한 코너링이 우수합니다. 단점으로는 브레이커가 단단하여 충격흡수가 좋지 않습니다.
> 튜브리스 타이어 : 튜브리스 타이어는 튜브가 없는 타입으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타입입니다. 비드와 림 접합만으로 진공상태를 유지하며, 안쪽 고무층들이 충격을 방지해 줍니다. 튜브 타입보다도 두꺼운 층으로 보호되기 때문에 공기가 쉽게 누출되지 않으며, 펑크를 비롯한 어느 정도의 파손은 수리가 용이하고 쉽게 파손되지 않습니다. 고속 주행에서도 발열이 적다는 장점이 있지만, 림 손상에 취약하고 팀이 조금만 변형되어도 형태를 유지하기가 힘듭니다.
2-2. 상황별 성능적인 분류
> 서머 타이어: 썸머 타이어는 주로 봄, 여름, 가을철에 사용되는 타이어로, 건조한 도로와 비교적 따뜻한 기온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썸머 타이어는 우수한 주행 안정성과 높은 마찰력을 제공하여 빠른 가속과 정확한 조향을 가능하게 합니다.
> 윈터 타이어: 윈터 타이어는 추운 기후와 눈이나 얼음으로 덮인 도로에서 최적의 주행 안전성을 제공합니다. 윈터 타이어는 유연한 고무 화합물과 특수한 마찰력 개선 패턴으로 설계되어 미끄러짐을 줄이고 더 나은 브레이킹 성능을 제공합니다.
> 올 시즌 타이어: 올 시즌 타이어(All-season 타이어)는 여름과 겨울의 조건을 모두 수용할 수 있는 다목적 타이어입니다. 일반적으로 여름 타이어나 겨울 타이어보다는 덜 특화되어 있지만, 다양한 조건에서 괜찮은 성능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 고성능 타이어: 고성능 타이어는 스포츠카나 고성능 차량에 적합한 타이어로, 높은 속도와 정확한 조향을 위한 우수한 주행 안정성과 접지 면적을 제공합니다. 고성능 타이어는 더 부드러운 고무 화합물과 특수한 마찰력 개선 패턴을 가지고 있습니다.
> 스노 타이어: 스노우 타이어는 매우 눈이 많은 지역에서 사용되는 특수한 겨울 타이어입니다. 이 타이어는 더 깊은 트레드 패턴과 눈과 얼음에 대한 향상된 마찰력을 제공하여 미끄러짐을 최소화하고 강한 브레이킹 성능을 제공합니다.
3. 타이어 읽는 방법
타이어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타이어의 옆 면, 사이드 월 부분에 여러 가지 숫자, 알파벳 등등이 쓰여 있습니다. 그 정보를 읽을 줄 안다면 실질적으로 매우 유용합니다. 예를 들어 중고타이어를 구매하거나, 중고 자동차를 구매하러 갔을 시 타이어 정보를 직접 읽을 줄 알고, 점검할 줄 안다면 보다 현명한 소비를 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정보는 위 사진을 보면 충분히 이해가 가능하지만, 추가적으로 몇 가지만 더 설명을 드리자면, 타이어 편평비란 높이 대비 단면폭을 비율로 계산한 것으로 타이어 접지력과 하중의 결정에 크게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편평비가 높으면 높을수록 충격흡수 및 승차감 향상에 좋습니다.
그다음에 래디얼 구조는 위에 설명드렸던 구조적인 분류로 나눈 타이어의 종류로 이외의 종류로는 RF 런플랫 타이어, ZR 고성능타이어, ZRF 퍼포먼스 런플랫 타이어 등등이 있습니다.
4. 타이어의 교체주기 및 점검방법
마지막으로 타이어의 교체주기 및 점검방법을 말씀드리겠습니다. 타이어는 주행거리, 주행환경에 따라 마모도가 달라지며, 타이어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확인을 해 줘야 합니다. 교체의 이유는 대부분 노후화 또는 파손에 의한 교체인데, 노후화로 인한 교체는 대략 5만 km 주행 또는 4년 정도를 통상적이라 말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보다 정확히 보자면 타이어를 자세히 보면 마모한계선이라는 것이 존재합니다. 이 마모한계선을 기준으로 홈의 깊이가 1.6mm 정도 남으면 타이어 교체를 진행해야 합니다.
3줄 요약> 타이어는 주행 환경과 주행 습관에 맞는 타이어로 장착 > 타이어 마모한계선으로 교체시기 판단 > 타이어 교체하거나 중고차 구매시 타이어의 정보가 궁금하다면 사이드 월 확인 |
'MTT's 자동차 정비 및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 경고등? 계기판 경고등? 경고등 종류 및 대처 방법에 대한 모든 것! (0) | 2023.06.24 |
---|---|
ABS? HUD? 스키스루? 텔레매틱스? 워크인 스위치? 생소한 자동차 옵션에 대한 모든 것! (0) | 2023.06.23 |
변속기 오일? 미션오일 ? 미션오일 교환주기? 미션오일 검사? 미션오일에 대한 모든 것! (0) | 2023.06.15 |
냉각수? 부동액? 냉각수 교환? 엔진과열? 냉각수에 대한 모든 것! (0) | 2023.06.14 |
공임비? 부품비? 정비소 가기 전 알아두면 좋은 Tip! (4) | 2023.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