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TT's 자동차 정비 및 상식

자동차 배터리 교체, 배터리 방전, 점검방법까지 알아보자 !

by MTT'S 2023. 8. 17.

자차를 운행하시는 분들 중 대부분은 갑자기 자동차의 시동이 걸리지 않는 배터리 방전 상황을 경험해 보신 적이 있으실 겁니다. 그러면 배터리는 왜 방전이 되는 걸까요? 그리고 배터리가 방전이 되지 않게 미리 예방할 수 있는 방법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을까요?

 

오늘은 이 자동차 배터리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사실상 배터리 내부 구조, 작동원리까지 세부적으로 설명을 드리자면, 너무 전문적인 영역으로 넘어가기 때문에, 추후에 정비소를 들르거나 배터리에 문제가 생겼을 때 등 일상생활에 필요한 정도까지만 정리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자동차 배터리 방전
자동차 배터리 방전

[목차여기]

 

자동차 배터리 방전 원인

지금 이 글을 읽으시는 분들 대부분이 이 주제때문에 읽고 계실 거라고 생각합니다. 배터리는 왜 방전이 될까요? 결론부터 설명을 드리자면, 크게 세 가지 경우입니다. 배터리 수명이 다했거나, 차량 발전기에 문제가 생겼거나, 차주의 부주의로 인해 배터리가 방전이 되었거나입니다.

 

1. 배터리 수명이 다한 경우

배터리의 수명은 평균적으로 납 배터리의 경우 3~5년, AGM, MF 배터리의 경우 4~7년으로 얘기합니다. (배터리의 종류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한번 다루겠습니다.) 이 배터리의 수명이 자연적으로 다한 경우에는 당연히 배터리 성능이 점차 저하되면서, 간헐적으로 시동이 걸리지 않는다거나, 차량의 보조 전기장치를 갑자기 많이 사용한다거나 했을 때 시동이 꺼지는 경우가 간혹 생깁니다.

 

2. 차량 발전기에 문제가 생긴 경우

배터리는 정상이어도, 차량의 발전기(제너레이터/알터네이터)에 문제가 생긴다면 동일하게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이유는 아래 원리를 설명할 때 말씀드리겠습니다.)

 

3. 차주의 부주의로 인한 경우

어제까지 아무런 문제가 없다가 갑자기 다음날 아침에 차 시동이 걸리지 않는다? 했을 때 원인 중 가장 높은 확률이 바로 이 이유 때문입니다. 전날 실내등을 끄지 않고 갔다거나, 라이트를 끄지 않았다거나, 블랙박스를 끄지 않았다거나 등의 이유가 원인입니다.

 

자동차 배터리 방전 시 조치방법

그렇다면 위와 같은 이유로 배터리가 방전이 되었다면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일단 가장 중요한 부분은 배터리가 방전되었다면, 빠르게 조치를 해야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배터리 방전 후에도 그냥 방전상태를 오래 방치하게 된다면, 설페이션 현상이라고 불리는 배터리가 기능을 회복할 수 없는 상태가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 배터리 방전 긴급출동 서비스를 받는 방법입니다. 보험사에 연락해서 현재 위치와 증상을 말한다면, 보험사에서 출동하여 조치를 해줍니다.

 

하지만 정말 만약에 시골이나 인적 드문 곳으로 여행을 가 보험사 긴급출동을 받을 수 없는 상황이라면, 셀프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대신 준비물이 필요한데, 바로 점프선과 지나가는 구난차량입니다.

차량 점프선점프선 연결
좌측부터 점프선, 점프선 연결방법 / 출처 : 시니어 매일

만약 지나가는 차량이 있다면 상황을 얘기한 뒤 부탁을 하여 아래와 같이 진행해 주시면 됩니다.

1. (구난 차량)의 시동을 끈다
2. (내 차량) 빨간색 점프선은 배터리 + 단자, 검은색 점프선은 배터리 - 단자에 물린다.
3. (구난 차량) 위와 동일하게 점프선을 연결한다.
4. (내 차량)의 시동을 건다.
5. (내 차량)의 점프선을 먼저 제거한 뒤 구난 차량의 점프선을 제거한다.

이렇게 시동이 제대로 걸렸다면, 내 차량의 시동은 절대 끄지 않고, 바로 운행을 해주거나, 바로 운행을 하지 않을 것이라면 그 상태로 20분 정도는 둬야 합니다.

 

자동차 배터리 원리

그렇다면, 자동차 배터리가 방전이 되는 원인, 조치 방법까지는 알겠는데, 정확히 어떠한 이유 때문에 방전이 되는 걸까요? 너무 전문적이고 어렵지 않게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자동차 발전기, 제네레이터, 알터네이터자동차 배터리
좌측부터 발전기, 배터리

먼저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모든 전자부품 및 전기장치가 작동되기 위해서는 당연히 전력이 필요합니다. 이때 자동차에서 전력을 공급해 주는 두 가지의 부품이 자동차 배터리와 위에서 잠깐 언급했던 자동차 발전기(제네레이터/알터네이터)입니다. 이때 배터리와 발전기는 역할이 정확하게 나뉘어 있습니다. 

1. 엔진 작동 전(시동 걸리기 전) : 배터리에서 모든 전기를 공급 + 시동에 필요한 전기를 공급
2. 엔진 작동 후(시동 걸린 후) : 발전기에서 모든 전기를 공급 + 배터리 충전

정리를 하자면, 차량이 주행 중이거나 시동이 걸린 뒤에는 배터리에서 전기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시동이 걸려 발전기가 돌아가는 이후부터는 발전기에서 모든 전기가 공급되며, 발전기가 배터리를 적정 전압까지 충전해줍니다. 

따라서 배터리는 차량의 시동을 걸어 발전기를 작동시키기 위해, 또는 시동을 켜지 않은 상태에서 에어컨 및 전조등 등을 작동할 때만 사용됩니다. 

 

이러한 원리 때문에 위에 방전 원인으로 꼽았던 것 중에 발전기에 문제가 생겨도 동일한 증상이 발생한다고 말씀을 드린 것입니다. 그리고, 차량을 장기적으로 운행해주지 않거나, 차주 부주의로 전조등 및 실내등을 켜고 나왔을 때 방전이 되는 이유도 같은 원리입니다. 발전기가 작동이 되어 배터리를 충전해 줘야 하는데, 배터리에서만 계속 전기를 공급하고, 발전기도 작동이 안 되어 배터리 충전도 안 되는 상태가 지속되니까 방전이 되는 것입니다.

 

자동차 배터리 종류 및 배터리 방전 예방법

그렇다면 이러한 자동차 배터리의 종류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을까요?

배터리의 종류를 크게 나눈다면, 납 배터리 / MF 배터리 / AGM 배터리 3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납 배터리 : 요즘에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 예전 배터리로, 수명은 약 3~5년으로 알려져 있으며, 내부에는 묽은 황산으로 된 배터리액이 들어있어, 주기적으로 증류수 보충해줘야 하며, 액체류 상태이기 때문에 추운 날씨 또는 매우 더운 날씨의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2. MF 배터리 : 무보수 배터리, 무정비 배터리라고 부르며, 우리가 알고 있는 대부분의 차량 배터리가 MF 배터리입니다. 수명은 약 4~7년으로 알려져 있으며, 내부에는 묽은 황산 대신 젤 상태의 물질을 사용하여, 증발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증류수를 보충해 줄 필요가 없습니다.

 

3. AGM 배터리 : MF 배터리와 비슷한 형식이지만, 보다 성능을 강화한 배터리입니다. 수명은 약 4~7년으로 알려져 있으며,  ISG 시스템 (시속 0으로 정차 시 자동으로 시동이 꺼지는 차량)을 탑재한 차량에 사용되는 배터리로 요즘 나오는 신형차량에 대부분 사용됩니다.

 

이러한 배터리에는 모두 인디케이터라는 유리형태로 되어있는 구슬같이 생긴 것이 달려있습니다. 

자동차 배터리 인디케이터

이 인디케이터의 색상을 보고 배터리의 상태를 파악하여 방전을 미리 예방할 수 있습니다. 위 사진의 좌측 녹색이 정상, 중간이 충전 필요, 우측이 교체 요망입니다.

다만 배터리의 종류에 따라 문제시 표시되는 색상이 다르기 때문에, 초록색이 아니라면 근처 정비소를 방문하여 배터리 전압 테스트 및 점검을 받아보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마지막으로 위 내용을 정리할 겸 자주 묻는 질문을 통하여 마무리하겠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1. 배터리 방전은 왜 되는 건가요?

> 배터리는 차량을 주기적으로 운행하여 자동차 발전기를 통해 충전을 해줘야 합니다. 차량을 장기간 운행하지 않아도 배터리의 전압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주기적으로 차량을 운행해 주고, 만약 장기간 운행을 하지 않을 거라면, 블랙박스 및 각종 전기장치의 전원을 꼭 꺼줘야 합니다. (이외에도 발전기의 문제가 있을 수 있으니 자세한 내용은 본문글을 참고해 주세요.)

 

2. 배터리는 문제가 없는데 시동이 안 걸려요

> 이 부분은 여러 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습니다. 가솔린 차량이라면 스파크 플러그의 문제, 디젤 차량이라면 예열 플러그이 문제일 수 있고, 크랭킹 자체의 문제라면 플라이휠 문제일 수도 있고, 여러가지 원인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 부분은 정비소에서 점검을 받아 보아야 합니다.

 

3. 배터리 방전 후 조치를 받으면 시동을 왜 켜둬야 하나요? 

> 배터리 자체의 전압이 떨어진 상태를 점프선을 통해 시동만 걸어놓은 상태이기 때문에, 발전기가 충분히 돌아가도록 시간을 주어 배터리가 충전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입니다. 따라서 배터리 방전 후 조치를 받았다면 바로 차량을 20~30분가량 운행하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정말 부득이하게 내버려 둬야한다면, 시동을 켠 상태로 30분 가량 두셔야 합니다.